초등학교 때 접한 처음의 만화는 <공포의 외인구단>이었다. 그 후에 탄력받아 읽기 시작한 만화인생...최장편 박봉성의 <신의아들>
대학가야 한다고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화계를 떠나 오락계에 입문한 후로 접해보지 못한 만화.
대학 졸업하고 장가갈 때가 되었다는 소리가 솔솔치 않게 들려올 무렵 접한 만화...바로 이원복 교수님의 <먼나라 이웃나라>시리즈다.
깨알 같이 빼곡히 들어찬 글자를 판독하듯 읽어야 하는 진부함의 극치인 세계사 책없이도 역사학도 못지않은 세계사적 지식과 관점을 갖게 해주는 엄청난 만화다.
<신의 나라 인간 나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정신사적 배경이 되는 신화, 철학, 종교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먼저 하고 싶은 말을 뱉어보자면,
본 서는 철저한 계몽주의에 힘입어 오로지 합리성에 기대어 신화의 세계를 읽어냈다. 즉,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신화를 분석했고 종교의 기원을 설명했다는 말이다.
배운 도둑질이 이쪽이다 보니 <먼나라 이웃나라>가 준 참신한 존경심보다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을 더 하게 했던 책이다.
일찍이 종교사회학에서 "세속화"이론을 정립하면서 21세기는 무종교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을 한바 있다.
이 책대로라면 철저하게 계몽된 현대인은 하나님 위에서 생각할 능력이 있는 자들이고 몽매한 자들의 전유물로 종교를 바라볼 식견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은 어떠한가?
그 예측을 비웃듯이 넘쳐나는 각 종교별 부흥이 각 대륙에서 펼쳐지고 있다.
계몽이 덜 되어서 그런가?
작금의 연구대상은 그 부흥에 참여하고 있는 덜 계몽된 신자들이 아니고 종교가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고, 지금도 믿고 있는 그들이다.
조심스레 이야기해야 하지만 적어도 이원복 교수의 <신의 나라 인간 나라>에서 보여주는 신화에 대한 이해, 종교기원에 대한 이해는 시대감각없는 탁상공론이요, 볼테르와 한통 속이 되어 저 무지한 백성들을 내려다 보며 측은히 여기며 벌이는 나르시스적인 토로밖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진정하자.
그렇다면 이책은 읽을 가치가 없는가?
물론 아니다.
본서는 앞서 이야기한 종교의 기원, 신화의 이해와 아울러 연구대상이었던 그 "신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문명권별로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 그치면 말도 안한다.
각 신화가 가지고 있는 공통분모를 보여준다.
놀라운 것은 그 연구의 폭이 세계사에서 문화사, 종교사에 미치는 교수님의 열성이고 해박하다는 형용사로는 불충할 만큼 이 분야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고스란히 담아냈다는 점이다.
읽어보라고 권하지만 정신세계 건강한 19세 이상 읽기를 권한다.
대학가야 한다고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화계를 떠나 오락계에 입문한 후로 접해보지 못한 만화.
대학 졸업하고 장가갈 때가 되었다는 소리가 솔솔치 않게 들려올 무렵 접한 만화...바로 이원복 교수님의 <먼나라 이웃나라>시리즈다.
깨알 같이 빼곡히 들어찬 글자를 판독하듯 읽어야 하는 진부함의 극치인 세계사 책없이도 역사학도 못지않은 세계사적 지식과 관점을 갖게 해주는 엄청난 만화다.
<신의 나라 인간 나라>는 제목이 암시하듯 정신사적 배경이 되는 신화, 철학, 종교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먼저 하고 싶은 말을 뱉어보자면,
본 서는 철저한 계몽주의에 힘입어 오로지 합리성에 기대어 신화의 세계를 읽어냈다. 즉,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신화를 분석했고 종교의 기원을 설명했다는 말이다.
배운 도둑질이 이쪽이다 보니 <먼나라 이웃나라>가 준 참신한 존경심보다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을 더 하게 했던 책이다.
일찍이 종교사회학에서 "세속화"이론을 정립하면서 21세기는 무종교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측을 한바 있다.
이 책대로라면 철저하게 계몽된 현대인은 하나님 위에서 생각할 능력이 있는 자들이고 몽매한 자들의 전유물로 종교를 바라볼 식견이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은 어떠한가?
그 예측을 비웃듯이 넘쳐나는 각 종교별 부흥이 각 대륙에서 펼쳐지고 있다.
계몽이 덜 되어서 그런가?
작금의 연구대상은 그 부흥에 참여하고 있는 덜 계몽된 신자들이 아니고 종교가 사라질 것이라 예측했고, 지금도 믿고 있는 그들이다.
조심스레 이야기해야 하지만 적어도 이원복 교수의 <신의 나라 인간 나라>에서 보여주는 신화에 대한 이해, 종교기원에 대한 이해는 시대감각없는 탁상공론이요, 볼테르와 한통 속이 되어 저 무지한 백성들을 내려다 보며 측은히 여기며 벌이는 나르시스적인 토로밖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진정하자.
그렇다면 이책은 읽을 가치가 없는가?
물론 아니다.
본서는 앞서 이야기한 종교의 기원, 신화의 이해와 아울러 연구대상이었던 그 "신화"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문명권별로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서 그치면 말도 안한다.
각 신화가 가지고 있는 공통분모를 보여준다.
놀라운 것은 그 연구의 폭이 세계사에서 문화사, 종교사에 미치는 교수님의 열성이고 해박하다는 형용사로는 불충할 만큼 이 분야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고스란히 담아냈다는 점이다.
읽어보라고 권하지만 정신세계 건강한 19세 이상 읽기를 권한다.
'밑줄 긋는 남자 > 읽어 버린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득의 심리학-로버트 치알디니(21세기북스, 2004) (0) | 2006.06.21 |
---|---|
나무-베르나르 베르베르 (열린책들, 2003) (0) | 2006.06.21 |
키친-요시모토바나나(민음사, 1999) (0) | 2006.06.08 |
영적훈련과 성장-리차드포스터(생명의 말씀사, 2004) (1) | 2006.06.08 |